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대결절 증상 알아보기

반응형

성대결절 이란?

성대결절’이란 소리를 내는 성대의 한쪽, 혹은 양쪽에 작은 혹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발성법에 따라 아랫면에 주로 위치하여 성대 윗면에는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성대에 윗면에서 아랫면에 걸쳐 전반적인 위치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로 6~7세의 남자 어린이, 30대 초반의 여성, 가수나 교사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성대결절은 육안으로 진찰했을 때 연결절과 경결절로 나뉩니다.

연결절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결절로 목소리를 혹사하거나 음성이 피로해지면 잘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경절절은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성대 점막이 초기에는 국소형의 방추형으로 두꺼워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반응형

 

성대결절 원인 

  • 1) 노래를 많이 부르는 직업
  • 2) 강의 등 목소리를 많이 내는 경우
  • 3) 소리를 많이 지를 때
  • 4) 후두염, 상기도염 등으로 기침을 심하게 오래 한때
  • 5) 구토를 많이 했을 때
  • 6) 잦은 음주와 흡연
  • 7) 환경적 요인(건조함, 미세먼지 등)
  • 8) 역류성 식도염이 있는 경우

성대결절이 생기는 원인은 반복적으로 강하게 대립되는 점막의 움직임과 강한 호기압에 의해 발생합니다.

 

성대를 무리해서 사용하면, 지속적으로 오용 및 남용하면, 반복되는 마찰로 인해 성대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성대결절(성대 점막에 좁쌀만한 크기의 작은 혹이 생기는 질환)이 발병할 수 있는데요.


계속해서 쉬지 않고 말하는 행동, 과다하게 웃거나 우는 행동, 강한 소음이 있는 장소에서 큰 소리로 말하는 행동, 고함을 지르는 행동 등이 성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또, 권위적으로 말하기 위해 낮은 음으로 계속해서 말하는 행동, 흡연이나 음주와 같이 후두의 무리한 사용도 성대결절의 원인이 됩니다. 

더군다나 건조한 겨울은 성대 건강이 더욱 취약해지는 시기인데요. 추운 날씨는 목소리를 만들어내는 성대 근육과 목 근육을 긴장하게 해서 성대에 부담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밖에도 평소 코가 자주 막히는 혈관 운동성 비염이나만성 기침을 유발하는 후비루 증후군을 앓고 있으면 성대결절의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성대결절 증상 

  • 1) 쉰 목소리
  • 2) 목소리가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음
  • 3) 음역폭이 좁아짐
  • 4) 목의 통증
  • 5) 목소리가 몇 갈래로 갈라져 배출
  • 6) 목소리가 갈라지고 찢어짐
  • 7) 성대의 변화(대칭이 맞지 않음, 색깔, 크기의 변화 등)
  • 8) 좁쌀 크기의 결절 발견
  • 9) 목 안의 이물감

 

성대결절의 가장 흔한 증상은 쉰목소리입니다. 만약 아이가 2주 이상 쉰목소리는 내거나 힘을 주어서 말하려고 하고, 발성이 지연 또는 중단되거나, 고음에서 목소리가 갈라지는 등의 증상이 생긴다면 성대결절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소아는 자신의 목소리 이상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호자들이 주의 깊게 관찰해 조기에 병원으로 데려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쉰 목소리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성대결절은 보통 다른 사람들이 말을 알아듣는 정도인 '말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아이가 말할 때 숨이 찰 수도 있고, 말할 때 힘을 주는 등의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성대결절 치료방법

치료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충분한 가습을 바탕으로 성대 점막의 윤활작용을 원활히 하는 것입니다또한, 성대의 자연스러운 발성을 유도하는 음성 치료와 인후두역류질환을 예방하는 약물 치료를 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적인 성대 결절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환자는 후두미세수술을 시행받게 되는데, 이는 입안에 후두내시경을 넣고 현미경을 이용하여 성대결절을 제거하는 시술입니다.

성대결절을 예방하고 아름다운 목소리를 갖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충분한 수분 공급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술이나 이뇨효과가 있는 카페인 음료는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고, 또한 무리한 발성이나 성대를 혹사하는 일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나치게 헛기침을 하거나 속삭이는 목소리를 내지 말고, 목에 힘을 주어 말하기보다는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말하는 버릇을 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반응형